top of page
  • 작성자 사진WCOkorea

Final 16 : 챌린지 최종 결선 무대에 오른 16명은 누구일까요?

Better Together Challenge 2018 결선에서는 모두 16명의 활동 이야기를 들을 수 있었습니다. 16명의 파이널리스트, 어떤 이야기들을 나눴을까요? (*아래 소개되는 순서는 결선에서의 발표 순서입니다.)


01 부산자매의 글로벌 과학교육나눔, 신나지 아니한가!       박은희, 한국과학캠프 (부산)


한국과학캠프박은희 대표는 아동청소년을 대상으로 과학교육을 하고 있습니다. 과거 불우한 경험을 한 아이들을 보고 나눔을 실천하게 됐다고 하는데요. 엄마의 자살을 목격하고 우울증과 환각증상에 시달리던 아이는 두 활동가의 나눔으로 병원치료와 검정고시를 치르고 삶에 대한 희망을 가지게 됐습니다. 희귀병으로 집단 따돌림을 당하던 아이는 대학병원의 치료와 복지재단의 치료를 받을 수 있도록 적극적으로 연계하고 상담을 진행한 결과 그 아이는 사회복지사라는 꿈을 가지게 됐습니다.

그렇다면 본질적인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방법은 없을까?

빈부격차는 교육격차로 이어지고 불행이 악순환되는 본질적인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교육을 통해 아동과 청소년에게 힘이 되고자 활동을 시작했습니다. 현재는 '글로벌 과학교육나눔 프로젝트'라는 이름으로 전국의 아이들을 찾아가며 과학교육을 하고 있습니다. 과학자를 꿈꾸는 아이들이 사람에 대한 관심과 사랑, 그리고 나눔에 관심을 가지고 연구하게 되면 장애와 질병을 치료할 수 있고 지구촌의 환경에까지 희망을 불어넣을 수 있습니다. 과학자 뿐 아니라 학생 스스로 어떤 꿈을 가지고 있더라도 주변 환경과, 사람에 대한 관심과 사랑, 나눔이 필요하다는 것을 알려주는 교육 프로젝트입니다. 

#세계시민교육 #아동청소년 #다문화 #혁신기술 #나눔기술 #과학기술


 

02 자전거로서 세상에 기여하는 방법       오영열, 약속의 자전거 (전국)


자전거로 세상을 아름답게 가꾸는 그날까지

오늘도 열심히 페달을 밟겠습니다


'약속의 자전거' 오영열님은 입구에서 자전거를 타고 입장했습니다. 등장부터 인상적이었습니다. 약속의 자전거는 사람들에게 스스로 살아가는 힘을 키워주는 100KM 프로젝트, 폐자전거를 수거하여 아름답게 되살리는 자전거 리사이클링, 사회적인 문제를 자전거와 결합시켜 알리거나, 행진을 진행하는 소셜라이딩을 진행하고 있습니다. 

오영열 대표는 원래부터 학교 교육에 관심이 많았다고 합니다. 현장을 찾아가 자전거 안전교육을 실천하고 폐자전거를 수거해 아이들의 꿈을 표현할 수 있는 디자인으로 함께 만들기도 합니다. 지역 어르신들과 함께 자전거 정비반 수업을 하기도 합니다. 이 과정에서 한 어르신께서 다시 뭔가를 할 수 있다는 자신감을 얻는 모습을 보며 가슴이 뭉클해졌다고 합니다.  처음에는 자전거를 만들거나 개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는 활동인줄 알았는데 발표를 듣고나니 자전거를 매개로 나눔교육을 실천하고 세상에 도전과 용기의 메시지를 전해주는 활동이라는 것을 알게됐습니다.

#라이딩의매력 #100KM프로젝트 #방치자전거 #리사이클링 #사회적해결


 

03 인생의 강력한 호기심 안다비, 아이디어디렉터 (서울)


'손재주와 아이디어로 감동을 주는 일'에 행복감을 느끼고, '아이디어 디렉터'라는 직업을 스스로 만들어 활동하고 있는 안다비님의 발표가 이어졌습니다. 현재는 호기심이 아이디어가 될 수 있도록 돕는 일을 하고 있습니다. 진로와 미래에 대한 고민 속에서 스스로 자신의 꿈을 찾은 그녀는 이제 멘토가 되어 다른 사람들의 호기심과 꿈을 찾을 수 있도록 돕고 있습니다. 'WHY?' 라는 단어로 작품을 만들어 전시하고 다양한 그룹을 찾아가 강연을 합니다. 어두운 밤을 낮으로 바꿀 순 없을까?라는 에디슨의 호기심이 밤을 낮처럼 밝게 하는 전구를 만든 것처럼 우리 각자의 호기심이 세상을 바꿀수도 있다고 생각합니다. 

#자아탐색 #문제해결 #아이디어디렉터 #호기심 #진로교육 #빅데이터



 

04 다인다색 청년정치를 키우다 <청치펀딩>       황수현, (재)와글 (서울)


황수현님은 '청년 정치 활동가' 입니다. 프랑스의 마크롱 대통령은 39살, 이탈리아의 로마시장 비르지니아라지는 37살에 당선, 뉴질랜드의 총리 저신다아던은 37세에 당선되어 정치활동을 하고 있습니다. 하지만 우리나라는 아직 청년들이 정치활동을 하기엔 열악한 환경입니다. 청년들은 자금부족, 세력부족, 경험부족이라는 벽에 부딪혀 출마까지 가지 못한다고 합니다.

살아남아라

청년정치인

온청치들이

멸종위기!!!


이에 문제의식을 느낀 풀뿌리민주주의 실험실 '(재)와글'은 청치펀딩 프로젝트를 시작했습니다. 청치펀딩은 정치 혁신에 뜻이 있는 청년 출마자와 시민을 연결하는 비영리 플랫폼입니다. 그 과정에서 비용 등의 많은 현실적 어려움이 있지만 현재 펀딩에 참여하는 시민 400여명, 총모금액 약 1억4천만원, 12명의 출마자 중 4명당선 등의 결과물을 냈다고 합니다.  청년 출마자의 진입장벽을 낮추는 일을 넘어 앞으로는 시민과 정치인의 간극을 줄여 시민의 정치혐오를 약화시키는 새로운 도전을 한다고 합니다. 결코 쉽지 않은 청년 정치 혁신! 도전이 아름다운 청년의 발표였습니다


#정치혁신 #집단지성 #풀뿌리민주주의 #디지털민주주의 #청년정치


 


05 캔버스에서 춤추는 예술가의 꿈, 사랑, 도전의 이야기      김형희, 한국장애인표현예술 연대 (전국)


스무살 현대무용을 전공하던 김형희님은 교통사고로 전신마비 장애를 가지게 됐습니다. 처음에는 많이 힘들고 절망했지만 곁을 지켜주는 가족들과 사랑하는 사람들의 응원을 외면할 수 없었다고 합니다. 열심히 재활운동을 하고 살아갈 날에 대한 희망을 놓지않았습니다.

절망 속에서도 작은 희망의 간절함은

'기적'을 만들 수 있습니다


처음에는 집에서 그림을 그리며 화가의 삶을 시작했습니다. 화폭에 발레리나를 그릴때면 마치 내가 춤추는 것처럼 느껴졌다고 합니다 김형희님은 자신을 캔버스에서 춤추는 화가라고 말합니다. 그림 뿐 아니라 움직이는 그림영상과 라이브드로잉 퍼포먼스로 무대를 가지기도 했습니다. 현재까지도 활발하게 활동하고 있는 '한국장애인표현예술연대'에서는 미술치료, 미술교육 등, 창의적이며 다양한 융복학접 예술 프로그램을 개발&기획하고 실행합니다. 불의의 사고는 누구에게나 닥쳐올 수 있습니다. 하지만 그녀는 절망 앞에서 무너지지 않았고열심히 사랑했으며 도전을 멈추지 않았습니다. 


#공익적라이프스타일 #창작뮤지컬 #장애여성 #장애예술인식개선



 



06 상생, 새로운 길을 걷다      표정만, 도시재생청년네트워크 '벽의민족' (서울)

표정만 님은 소통형 '벽화배달'의 개념을 도입한 봉사단체 '벽의 민족'을 이끌고 있습니다. 사회적 기업을 지향하는 벽의 민족은 '붓질을 넘어 소통의 문화를 정착시킬 벽화배달'을 모토로 다양한 분야의 사람들이 모인 봉사단체로 사회적 기업을 지향합니다.  벽화를 그려 마을재생을 꾀하는 과거의 모델에서 발전하여 벽화를 매개로 청년과 노인이 소통하고 상생할 수 있는 환경을 만들고자 합니다. 그는 이번 발표를 통해 지난 신길동 벽화대장정을 소개했습니다.벽화대장정은 신길동에 얽힌 추억과 가치를 담은 메세지를 모은 벽화사업으로 지역을 바꾸고자 하는 주민들의 바램을 알려 시작했습니다. 22개 대학에서 봉사자가 모였고 1년간 쓸 수 있는 페인트도 업체로부터 후원을 받아 프로젝트를 시작할 수 있었습니다. '우리는 정말 변화할 수 있을까?'로 시작했던 신길동 벽화 대장정은 '함께 하면 된다!'라는 희망의 메시지를 남겨주었습니다. 


모두가 청년 대표가 되어 세상의 벽을 더럽(The LOVE)히자'


#벽화 #마을재생 #청년 #상생의문화 #거버넌스 #세대통합 #세대소통


 


07 사람은 꿈을 닮는다        김태진, 동네줌인 (광주)

'동네줌인' 김태진 대표는 광주에서 청년들의 열린공간을 운영하고 있습니다. 청년들 스스로 진로를 계획하고 서로 꿈을 나눌 수 있도록 마련한 공간입니다. 김태진님은 2009년 대학을 졸업하고 누구나 가고 싶어하는 대기업에 취업했지만 행복하지 않았다고 합니다. 행복한 일을 찾기로 결심한 그는 사표를 던지고 커피트럭을 몰았습니다. 커피트럭으로 전국을 누비던 그는 무일푼으로 세계여행에 도전했습니다. 여행을 하며 만난 사람들 속에서 김대표는 '행복'에 대한 깊은 고민을 하게 됐고 그 청년들이 진짜 자신이 하고 싶은일을 할 수 있도록 고민을 나눌 수 있는 공간을 만들기로 결심하여 동네줌인을 만들게 됐습니다.  청년들 뿐 아니라 노인과의 소통도 놓치지 않습니다.1.5톤 트럭을 개조하여 '움직이는 스튜디오'를 운영합니다. 광주와 전남지역의 지역 어르신들을 찾아다니며 장수사진을 찍어드립니다.  아직은 작지만 그는 미네르바 스쿨을 롤모델로 하는 혁신적인 대학을 만드는 꿈을 꾸고 있습니다. 대학 강의보다 글로벌인재를 키워낼 수 있는 프로그램을 개발하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습니다. 

사람은 꿈을 닮는다


작은 꿈을 꾸기 시작하면 실행에 옮기고 그 끝은 늘 행복으로 귀결됩니다. 그는 지금 진짜 행복한 삶을 살고 있습니다. 


#청년공간 #청년창업 #사회공헌 #다양성 #지역사회 #어르신장수사진 #도전



 


08 村스럽게 살자: 도시인의 고군분투 귀촌이야기       엄수정, 스페이스 SEON(仙) (충주, 전국)